영상 자막에 관한 이야기들은 신기하게도 언급하는 곳이 거의 없네요. 제가 기업들 자막 패키지를 제작 납품하는 일을 하면서 지금까지 보고 만들고 했던 것들을 조금씩 풀어볼까 합니다. 제가 수없이 공부한 노하우가 담긴 글입니다 :)

세레니티 자막 PSD http://bitly.kr/b2EXdSCvqE
어제 새벽에 쓴 글에도 있지만, 디자인은 브랜딩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유튜브 영상의 퀄리티가 점점 올라가고 있어서, 나만의 브랜드로 롱런하고 싶으신 유튜버 또는 영상디자인 취업 분야를 고민하고 계신 편집자분께서는 이번 글을 염두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시작이 편하면 모두가 이득이잖아요? :) 본론으로 빠르게 넘어가겠습니다.
1. 자막의 종류 자막의 종류는 크게 상황 자막 / 보조 자막 / 대사 자막 / 설명 자막 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을 합니다. 상황 자막은 현재 등장하는 씬에서 의미를 전달하는데 중점을 두며, 컷편집으로 손실된 앞뒤 상황 설명 또는 현재 상황을 설명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대사 자막 대신 상황 자막을 사용해 들어가는 리소스를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시청자들의 이해를 도와줍니다. 정보 전달이 주 목표이기 때문에 카피 작성의 간소화 및 디자인의 가독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사 자막은 화자의 말을 그대로 읊어주는 자막으로, 주로 대사의 전달이 명확해야하는 콘텐츠에 사용되며 말을 그대로 전달하는 만큼 자막 자체로는 연출에 한정이 있기 때문에 폰트, 자막바 등의 디자인이 곁들어집니다. 상황 자막을 그대로 대사 자막처럼 사용하는 콘텐츠도 많습니다. 대사 자막 마지막에는 자막의 연속성을 보전하기 위해 마침표 (.) 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국룰입니다.

보조 자막은 행동과 의성/의태어, 포인트 등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자막으로, 상황과 대사 자막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지루함과 피로를 해소시켜주고, 감정 표현의 범위를 넓혀줍니다.

1-2. 대사 자막의 감정 표현 대사 자막을 꼭 자막바로 표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양한 폰트, 색상 등을 사용하여 감정적으로 이 사람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 강조하는 게 좋습니다.

세레니티 자막 PSD http://bitly.kr/b2EXdSCvqE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각종 레퍼런스와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크게 나눠서 낙담, 우울, 화남, 기쁨, 쓸쓸 등으로 분류하여, 폰트에 맞게 디자인합니다. 색상의 경우에는 색 자체를 바꾸기보다는 명도와 채도 등을 조절하여 활용합니다. 자막 디자인은 대개 3가지 색상을 바리에이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3. 폰트 저는 주로 자막을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폰트의 사용 가짓수를 늘리는 걸 추천드리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주로 상업용 무료 폰트를 추천드리긴 합니다. 상업용 무료 폰트는 눈누 https://noonnu.cc/ 에서 라이선스 활용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상업적 이용 가능한 무료 한글 폰트 모음 사이트 눈누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료 한글 폰트를 모아 놓은 사이트 눈누 noonnu.cc
어느 하나 튀는 것 없이 가장 표준적인 폰트는 산돌구름 및 210 이며, 폰트릭스, 윤디자인의 경우에는 입문자들이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스타일이 그렇게 크게 다양하다는 인상은 받지 못해서 저는 처음 입문은 산돌구름 멤버십을 적극적으로 추천드립니다. 폰트는 이후에 어떤 폰트를 사용하면 좋을지 따로 떼어 더 자세한 칼럼으로 다뤄보겠습니다.
레퍼런스로 같이 참고하실 만한 링크를 소개드리겠습니다. tvN의 브랜딩디자인 인스타그램입니다. https://www.instagram.com/tvn_branddesign/?hl=ko
또 하나 더... 타이틀리스트... ^-^ www.titleliststore.com
제가 이번 칼럼에서 작성한 자막의 노하우를 꾹꾹 담았어요. 프리미어 레거시 타이틀, PSD, mogrt 파일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유튜버분들도, 편집자분들도 부담없이 사용하고 공부하시기 정말 좋습니다 :) 감사합니다!